본문 바로가기

이분 탐색/upper & lower_bound

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(LIS)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2015

 

12015번: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2

첫째 줄에 수열 A의 크기 N (1 ≤ N ≤ 1,00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에는 수열 A를 이루고 있는 Ai가 주어진다. (1 ≤ Ai ≤ 1,000,000)

www.acmicpc.net

 

https://velog.io/@junttang/BOJ-12015-%EA%B0%80%EC%9E%A5-%EA%B8%B4-%EC%A6%9D%EA%B0%80%ED%95%98%EB%8A%94-%EB%B6%80%EB%B6%84-%EC%88%98%EC%97%B4-2-%ED%95%B4%EA%B2%B0-%EC%A0%84%EB%9E%B5-C

 

BOJ - 12015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2 해결 전략 (C++)

문제 링크백준 12015번 -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2  본 문제는 BOJ에서 상당히 유명한 문제 유형인 LIS(Longest Increasing Sequence)의 두 번째 문제이다. 기본 LIS 문제들은 두 가지 타입으로 풀이법이

velog.io

완벽하게 설명을 해놓으셨다.

 

이걸 그냥 set와 lower_bound로 구현만 해주자.

 

<소스 코드>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#include <iostream>
#include <set>
#include <vector>
 
using namespace std;
 
int main()
{
    int n;
    cin >> n;
    vector<int> arr;
    arr.resize(n + 1);
 
    for (int i = 0; i < n; i++)
        cin >> arr[i];
 
    set<int> lis;
    lis.insert(arr[0]);
 
    for (int i = 1; i < n; i++)
    {
        auto iter = lis.rbegin();
        if (*iter > arr[i])
        {
            auto tmp = lis.lower_bound(arr[i]);
            lis.erase(tmp);
            lis.insert(arr[i]);
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else
        {
            lis.insert(arr[i]);
        }
    }
 
    // 출력
    /*for (auto iter = lis.begin(); iter != lis.end(); iter++)
    {
        cout << *iter << ' ';
    }
    cout << '\n';*/
    cout << lis.size() << '\n';
 
    return 0;
}
cs

'이분 탐색 > upper & lower_boun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C++] set 사용법  (0) 2024.08.06
공항  (1) 2024.03.07
파일 저장소  (0) 2024.02.22
승강제리그  (0) 2024.02.16
성적 조회  (0) 2024.02.15